Q : ‘상주 표시’에 대해서 학습했습니다.
A :
완장 (남자가 착용)
완장은 삼베로 만들어졌으며 검은색의 줄이 그어져 있는데 일반적으로 두 줄, 한 줄, 무 줄이 있습니다.
→ 두 줄 : 아들과 사위 아들이 없을 시에는 장손이 착용한다.
→ 한 줄 : 기혼인 복인(반드시 상복을 입지 않고 완장만 착용을 해도 복인이 됩니다)
→ 무 줄 : 미혼인 복인(주로 손자들이 착용하게 됩니다)
- 완장의 사용 시기는 정확하지는 않으나 굴건제복 대신 상주임을 표시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가 되어 직계와 비속을 구분하기 위한 수단으로 줄을 넣고 넣지 않음으로 구분하게 되었습니다.
- 굴건제복 : 상주(喪主)가 쓰는 굴건과 제복으로, 굴건은 거친 삼베를 사용하여 만든 것으로 상주가 상복을 착용할 때에 두건 위에 덧쓰는 건.
리본 (여자가 착용)
무명천으로 만들어진 머리핀을 말합니다.
→ 남자가 상을 당했을 경우 : 좌측 머리 부분에 리본을 꽂습니다.
→ 여자가 상을 당했을 경우 : 우측 머리 부분에 리본을 꽂습니다.
상장(남, 여 착용)
장례를 마친 후 상을 당했다는 표시를 하는 것을 말합니다.
- 남자는 삼베로 만든 리본을 왼쪽 가슴에 부착합니다.
- 여자는 무명천으로 만든 리본(머리핀)을 남자가 상을 당했을 경우 좌측 머리, 여자가 상을 당했을 경우 우측 머리에 리본을 꽂습니다.
- 상장은 장례를 마친 후 탈상 때까지 직계가족만 착용합니다.
'장례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의를 삼베로 하는 이유? / 칠성판의 고대, 현대적 의미 (깨알 상식) (0) | 2021.05.01 |
---|---|
발인 시 관 나가는 방향 (0) | 2021.05.01 |
봉안'당'과 봉안'담'의 차이? (0) | 2021.04.30 |
e하늘 장사정보시스템에서 사망자(고인) 정보 등록 방법 및 이유 (0) | 2021.04.30 |
e하늘장사정보시스템(보건복지부)에서 화장예약 하는 방법! (0) | 2021.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