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망진단서 2

장례식장 용어 (KS S - 한국산업규격)

1. 적용범위 이 규격은 장례식장 서비스 계약을 체결한 후 장례식장에서 임종 후부터 발인까지 행해지는 서비스에 대하여 적용합니다. 단, 임종 전에 일어나는 용어와 발인 이후에 일어나는 화장 및 매장 등에 수반되는 용어는 이 범위에 적용되지 않습니다. 2. 기본 용어 장례 : 죽음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행해지는 일련의 의례 장사 : 시신을 화장하거나 매장하는 등의 시신을 처리하는 일련의 행위 고인 : 장례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죽은 이에 대하여 예로서 높여 부르는 말 시신 : 죽은 사람의 몸체를 높여 부르는 말 사망 진단서 : 의사가 사람의 사망을 의학적으로 증명할 때에 작성하는 문서 시체 검안서 : 의사의 치료를 받지 아니하고 사망한 사체(시신)를 살펴서, 의사가 사인을 의학적으로 검안하여 사망을 확인하는 ..

장례 관련 2021.05.10

상식과 조석전 / 사망진단서와 시체검안서

Q : 상식과 조석전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A : 상식 : 입관 후 살아계실 때와 같이 식사를 올리는 것 조석전과 상식을 구분하여 올리기 쉽지 않아 조석전과 상식을 겸하여 올리고 있는 추세이지만, 엄밀히 조석전과 상식은 의미가 다릅니다. 전(정할 전)이란 고인을 생시와 똑같이 섬긴다는 의미에서 상에 술과 과일, 포를 올리는 것을 말하는데 아침, 저녁으로 올리는 것을 조석전이라고 합니다. 아침에 올리는 것이 조전, 저녁에 올리는 것이 석전 입니다. 말그대로 아침 조를 사용하여 아침 해가 뜨면 조전을 올리고, 저녁 석을 사용하여 저녁에 해가 진 뒤에 석전을 올립니다. 조전이나 석전이 끝나면 음식을 치우고 술과 과일 등만을 남겨놓습니다. 상식은 상장례기간 동안 망자에게 올리는 식사를 말합니다. 식사시간에 ..

장례 관련 2021.04.28